2025년 9월 24일(수) 오후3시부터 부산광역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제20차 부산인권정책포럼이 열렸습니다.
이번 부산인권정책포럼은 ‘부산시 인권정책을 짚다’라는 주제로 제3차 인권정책기본계획(2025~2029)를 살펴보는 토론회로 부산인권정책포럼과 부산광역시인권센터의 공동주최로 진행되었습니다.
조영태 부산광역시 행정자치국장님의 축하인사말을 시작으로, 정귀순 부산인권정책포럼 위원장님이 좌장을 맡아 제3차 인권정책기본계획에 대한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 발제1 제3차 부산시 인권정책기본계획설명-이철(케이스탯컨설팅 연구실장), ▷발제2 제3차 부산시 인권정책기본계획 검토-이주언(부산시 인권위원회 위원장)으로 3차 인권정책기본계획에 대한 소개와 2차 인권정책기본계획과의 성과와 한계, 2차-3차 기본계획의 비교 검토가 이루어졌습니다.
이어서 ▷인권행정체계(박용민/동래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센터장) ▷건강권 및 돌봄권(이성한/건가앗회복지연대 사무처장) ▷노동인권(석병수/부산노동권익센터 센터장) ▷장애인 인권(최영아/함세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센터장) ▷이주민 인권(정지숙/(사)이주민과 함께 상임이사) ▷여성 인권(정경숙/부산광역시여성폭력방지종합지원센터 센터장) ▷청년 인권(정서원/(사)부산청년들 대표) ▷아동 청소년인권(최진경/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부산지부장) ▷노인 인권(장혜원/서부노인보호전문기관 관장) ▷인권정책 전체의견(김명희/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협력팀장)의 분야별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3차 인권정책기본계획 수립 과정에 공정회 등의 의견 수렴 과정이 없어서 아쉬웠다는 의견과, 2차 인권정책기본계획과의 비교에서 확대-축소된 부분에 대한 검토, 분야별 인권정책의 세부적인 내용과 후속 과제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복지 정책의 나열이 아닌, 인권 기반의 접근과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권리 보장에 대한 의견들이 이어졌습니다.
인권이 행정과 정책의 밑바탕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이어져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