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924() 오후3시부터 부산광역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제20차 부산인권정책포럼이 열렸습니다.

 


KakaoTalk_20250929_105010985_05.jpg


 


이번 부산인권정책포럼은 부산시 인권정책을 짚다라는 주제로 제3차 인권정책기본계획(2025~2029)를 살펴보는 토론회로 부산인권정책포럼과 부산광역시인권센터의 공동주최로 진행되었습니다.

 

조영태 부산광역시 행정자치국장님의 축하인사말을 시작으로, 정귀순 부산인권정책포럼 위원장님이 좌장을 맡아 제3차 인권정책기본계획에 대한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발제1 3차 부산시 인권정책기본계획설명-이철(케이스탯컨설팅 연구실장), 발제2 3차 부산시 인권정책기본계획 검토-이주언(부산시 인권위원회 위원장)으로 3차 인권정책기본계획에 대한 소개와 2차 인권정책기본계획과의 성과와 한계, 2-3차 기본계획의 비교 검토가 이루어졌습니다.

 

이어서 인권행정체계(박용민/동래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센터장) 건강권 및 돌봄권(이성한/건가앗회복지연대 사무처장) 노동인권(석병수/부산노동권익센터 센터장) 장애인 인권(최영아/함세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센터장) 이주민 인권(정지숙/()이주민과 함께 상임이사) 여성 인권(정경숙/부산광역시여성폭력방지종합지원센터 센터장) 청년 인권(정서원/()부산청년들 대표) 아동 청소년인권(최진경/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부산지부장) 노인 인권(장혜원/서부노인보호전문기관 관장) 인권정책 전체의견(김명희/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협력팀장)의 분야별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3차 인권정책기본계획 수립 과정에 공정회 등의 의견 수렴 과정이 없어서 아쉬웠다는 의견과, 2차 인권정책기본계획과의 비교에서 확대-축소된 부분에 대한 검토, 분야별 인권정책의 세부적인 내용과 후속 과제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복지 정책의 나열이 아닌, 인권 기반의 접근과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권리 보장에 대한 의견들이 이어졌습니다. 



KakaoTalk_20250929_105010985_25.jpg

KakaoTalk_20250929_110245024.jpg


 


인권이 행정과 정책의 밑바탕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이어져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