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인권소식

home 인권단체소식 부산인권소식
메뉴보기

[국가폭력-인권]부산 인권유린 집단수용시설 ‘영화숙·재생원’ 생존자 지원책 나오나…피해자 특별법 요구

관리자 | 2024-06-04 | 조회수 : 65

2024053101039927093001_b.jpg

영화숙·재생원피해생존자협의회가 지난 24일 연 토론회에서 생존자인 진순애 씨가 증언하고 있다. 영화숙·재생원피해생존자협의회 제공


피해자들 "아동 때 부모 찾으려다가 파출소서 끌려가"
"맞다가 죽거나 골병" "동성 간 성폭행" 등 피해 회고
"영화숙 탈출하다 잡히면 인간 재생창서 살아 못나와" 폭로
협의회 "정부 공식사과" "진실 규명 제도화" 요구


1950~1970년대 인권 유린이 자행된 부산의 집단수용시설인 ‘영화숙·재생원’ 피해 생존자들이 정부와 부산시를 상대로 진상 규명 활동의 제도화와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부산시가 관련 대책 마련을 예고해, 피해자의 삶 안정과 피해 회복에 도움이 될 실질적 방안이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영화숙·재생원피해생존자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최근 부산시에 영화숙·재생원 피해 생존자의 삶을 안정적으로 보장할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장을 전했다고 31일 밝혔다. 재단법인 영화숙이 설립한 영화숙·재생원은 부산 형제복지원의 모델이 되기도 했던 수용소다. 1951년 영화숙만 설립돼 50여 명을 수용했는데, 1976년 영화숙·재생원으로 확대됐다. 당시 부랑인으로 여겨진 사람들이 이곳에 납치돼 집단 수용됐으며, 강제 노역과 폭행을 당하는 등 인권 유린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집단수용시설에서 인권 유린을 겪은 피해자는 최소 1200명, 최대 18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지난해 8월 영화숙·재생원에 대한 직권조사를 의결한 뒤 현재 피해자 조사 중이다. 이에 전국 피해·생존자 모임인 협의회는 영화숙·재생원피해생존자지원단을 비롯한 여러 단체와 집단수용시설 인권 침해 진상규명을 위해 연대 중이다.

협의회는 지난 24일 피해자의 증언을 듣고 정부와 지자체에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피해 생존자인 김성주 씨는 "어릴 적 한 날 엄마와 떨어져 파출소에서 밤을 새우다가 트럭에 실려 부산 장림동에 있는 영화숙에 갔다"고 떠올렸다. 그는 이어 "그곳에서의 생활은 하루하루가 지옥이자 악몽이었다"며 "너무 맞아서 골병든 사람도 있었고, 또 너무 맞아 앓다가 죽은 아이를 뒷산에 묻은 기억도 난다. 동성 간 성폭행도 매일 일어나고, 여자아이들도 성폭행을 당하는 일이 있었던 걸로 알고 있다"고 증언했다. 생존자 김기현 씨는 "아버지가 찾으러 올 거라는 마을 통장 말만 믿고 서울시립아동보호소를 거쳐 영화숙으로 갔다"며 "10년이나 갇혀 있었다. 도망치다 잡히면 재생원에 들어갔는데, ‘인간 재생창’으로 불렸다. 못 버티면 개만도 못한 죽음을 맞았다"고 아픈 기억을 되뇌었다.

정부와 지자체에 당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생존자인 송태호 씨는 "피해자 대부분이 전쟁고아도, 부랑아도 아니었다"며 "영화숙·재생원을 만든 이들의 욕심과 현실을 인식하지 못한 공무원이 만들어낸 작품이었다. 부디 다시는 이런 탁상머리 작품이 만들어지지 않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생존자 진순애 씨는 피해자를 살피는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을 당부했다. 그는 "다들 나이 많고 병들었지만 나머지 인생에서 밥이라도 제대로 따뜻하게 먹었으면 한다"고 소망했다.

이어진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부산시가 담당 부처가 모호하고 진실화해위 결정 여부를 이유로 피해 생존자 지원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 섞인 주장도 나왔다. 협의회 관계자는 "진실화해위가 피해 진정 접수 기간을 마감해 진정조차 못한 피해 생존자가 계속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협의회는 정부와 지자체에 △피해 생존자 추가 발굴 조치 및 피해 생존자 추가 진정 △협의회와의 공식 협력절차 마련 △인권 실태조사 및 지원 예산 마련 △진실규명을 위한 연구 및 기록물 접근권 보장 △피해 사망자 위령제 및 유해 매장 부지 발굴 계획 수립 △국가 수용시설 정책으로 인한 중대한 인권침해 피해 선언 및 재발 예방 등을 요구했다. 손석주 협의회 대표는 "국가와 관련 부처 책임자는 집단수용시설 문제와 관련해 공식적 사과를 하고, 피해 조사를 위한 특별법 제정 등의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당시 시설 운영 책임이 있었던 부산시도 진실규명 활동을 제도화해 피해 인정·지원을 위한 시책을 마련하기 위한 담당 부서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부산시는 오는 8월 진실화해위 직권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피해자의 생활 안정과 위로를 위한 예산을 확보해 내년 지원할 수 있게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기사 출처 아래링크)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4053101039927093001


목록

| |
등록
※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는 댓글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